본문 바로가기
일상다반사

2025년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총정리

by 코코랑희희랑 2025. 5. 1.
반응형

 

해외여행, 출장에 빠질 수 없는 보조배터리. 하지만 2025년 3월 1일부터 국토교통부의 새 규정이 시행되면서 기내 반입 기준이 대폭 변경되었습니다.
특히 용량별 반입 가능 여부와 수량 제한, 포장 방식까지 강화되어 출국 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.

 

- 참고글

 

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총정리: 변경사항, 용량 계산법, 수량 제한까지 - Infoscope

해외여행이나 출장 중 스마트폰과 노트북을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품입니다. 하지만 2025년 3월 1일부터 시행된 국토교통부의 새로운 항공 안전 규정에 따라, 보

kokorang.com

 

✅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변경사항 (2025년 최신 기준)

배터리 용량(Wh) 반입 가능 여부 수량 제한 비고
100Wh 이하 ✅ 가능 최대 5개 일반 보조배터리, 스마트폰용
100~160Wh ✅ 항공사 승인 시 가능 최대 2개 고용량 보조배터리, 드론용
160Wh 초과 ❌ 반입 금지 불가 캠핑용, 산업용 등

※ 100Wh 초과 시 반드시 항공사 승인을 받아야 하며, 승인된 제품에는 스티커가 부착되어야 보안 검색 통과가 가능합니다.
※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 금지, 기내 반입만 허용됩니다.

배터리 기내반입규정

 

🔋 보조배터리 용량 계산법 (mAh → Wh 변환)

항공사는 Wh(와트시) 기준으로 반입 여부를 판단합니다. 대부분의 보조배터리는 mAh(밀리암페어시)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직접 계산이 필요합니다.

계산식: Wh = (mAh × 전압[V]) ÷ 1000

용량(mAh) 전압(V) 계산 결과 반입 가능 여부
10,000mAh 3.7V 37Wh ✅ 가능
20,000mAh 3.7V 74Wh ✅ 가능
30,000mAh 3.7V 111Wh ⚠️ 승인 필요
50,000mAh 3.7V 185Wh ❌ 반입 불가

※ 대부분 3.7V 기준이지만, 5V, 7.4V 제품도 있으니 제품 라벨을 꼭 확인하세요.

📦 단락 방지 포장 지침

  • 금속 단자가 노출된 제품은 절연 테이프로 감싸기
  • 보조배터리는 지퍼백, 파우치 등 개별 포장 필수
  • 공항 보안대에서 투명 비닐 제공 예정

🛫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

항공사 100Wh 이하 100~160Wh 160Wh 초과
대한항공 ✅ 최대 5개 ✅ 최대 2개 (승인 필수) ❌ 금지
아시아나항공 ✅ 최대 5개 ✅ 최대 2개 (승인 필수) ❌ 금지
제주항공 ✅ 최대 5개 ✅ 최대 2개 (승인 필수) ❌ 금지
진에어 ✅ 최대 5개 ✅ 최대 2개 (승인 필수) ❌ 금지
티웨이항공 ✅ 최대 5개 ✅ 최대 2개 (승인 필수) ❌ 금지

📌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시 필수 주의사항

  • 기내 선반 보관 금지 → 반드시 몸에 지참
  • 기내 충전 금지 → 좌석 USB 포함 사용 불가
  •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승무원에게 신고
  • 수하물 위탁 절대 금지 → 반드시 기내 휴대

❓ FAQ (자주 묻는 질문)

(Q1 고용량 보조배터리를 공항에서 승인받을 수 있나요?)
(Q2 보조배터리는 총 몇 개까지 가져갈 수 있나요?)
(Q3 노트북, 드론 배터리도 같은 규정인가요?)
(Q4 기내에서 충전하다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?)
(Q5 해외 항공사도 동일 기준인가요?)

가장 많이 묻는 질문들(FAQ)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👇
👉 2025년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FAQ 바로보기

🔗 참고 링크


#기내보조배터리 #보조배터리반입기준 #항공기배터리규정 #보조배터리용량계산법 #2025항공규정 #리튬이온배터리기내 #여행팁 #드론배터리기내 #스마트폰충전기내 #기내전자제품규정

반응형

댓글